- >
- 족부집중클리닉
- >
- 발목인대손상
발목인대손상
발목인대손상 정의
발목인대손상은 흔히 ‘발목을 삐끗했다’라고 표현하는 생활형 족부질환으로, 인대란 뼈와 뼈 사이를 이어주는
단단한 섬유조직으로 인대손상은 이러한 인대가 늘어나거나 끊어지는 것을 말합니다.

발목인대 손상
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연간 130만명 이상으로
족부질환 중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누구나 일상생활에서 쉽게 겪을 수 있습니다.
"발목인대손상은 크게 외측과 내측 인대손상으로 구분합니다"
-
발목인대 내전 외측인대손상
-
발목인대 외전 내측인대손상
발생률을 비교했을 때 외측 인대손상이 약 85%이상이며, 내측 인대손상은 15% 정도입니다.
이 같은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외측 관절이 내측에 비해 불안정하고, 외측 인대가 내측 인대에 비해 약하기 때문입니다.
-
전방거비인대파열
-
복합 파열
외측 염좌에서 가장 흔하게 손상되는 인대는 전방 거비인대이며, 다음으로 흔한 손상은 전방 거비인대와
종비 인대의 복합 손상이며, 인대 실질 내 파열이 가장 흔하고, 종골 또는 비골의 견열 골절 역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종비인대 단독 손상은 드물기는 하지만, 나중에 거골하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보고가 되었습니다.
발목인대손상의 구분
"발목 인대가 손상되었을 때 모두 같은 상태가 아닙니다."
손상 정도에 따라서 1,2,3도 염좌로 나뉩니다.
따라서 발목인대 전담치료란 인대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선별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.
만약 이 중 하나라도 부재한다면 전담적 치료라 말할 수 없으며, 환자의 치료 결과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.

발목인대 내전 외측인대손상
발목인대손상 방치 시 문제점
인대는 섬유조직으로 잦은 부상이 반복된다면 급속도로 상태가 악화되어
아래와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. 이는 인대 손상 환자라면 그 누구도 예외 없이 해당되는 사항입니다.
1. 발목불안정증 |
---|
![]()
인대 손상 후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대표 질환으로 발목을 접질린 뒤 관리가 제대로 |
2. 발목연골손상 |
![]()
발목연골 손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으로 발목인대 손상 후 |
3. 발목관절염 |
발목 관절염은 퇴행성변화가 주원인인 무릎 관절염과 달리 외상이 주원인으로, 때문에 지속적인 발목인대 손상을 |